본문 바로가기

생활정보 & 정부지원/받을 수 있는 거 다 받자

청년도약계좌 vs 내일저축계좌 완벽 비교! 조건부터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

 

 

📘 청년도약계좌 vs 내일저축계좌 완벽 비교!

2024년부터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청년도약계좌’와 ‘내일저축계좌’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

두 상품 모두 청년 대상이고 정부 지원이 포함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,가입 대상, 지원 방식, 혜택이 확연히 다릅니다.

이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와 내일저축계좌를 비교하여 어떤 상품이 내 상황에 더 적합한지

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! 😊

📌 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도약계좌는 일정 금액을 5년간 꾸준히 저축하면
최대 약 5,000만 원까지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

정부가 이자 및 저축 보조금을 지원하는 상품입니다.

  • 가입 대상: 만 19~34세 청년 중 개인소득 7,500만 원 이하 &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  • 저축 기간: 5년
  • 월 납입금: 40만 원까지
  • 정부 기여: 이자소득 비과세 + 저소득층에 월 1만~4만 원 보조금 지원
  • 예상 수령액: 최대 약 5,000만 원 (이자 + 정부지원 포함)
  • 주요 특징: 누구나 신청 가능, 지원금은 소득에 따라 차등

📌 내일저축계좌란?

내일저축계좌는 주로 근로빈곤층 청년(청년 근로빈곤층)을 대상으로 한
‘자산형성 지원형’ 상품입니다. 본인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3배 이상 매칭해 줍니다.

  • 가입 대상: 만 19~34세 청년 중 근로·사업소득이 있는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또는 기준중위소득 100% 이하
  • 저축 기간: 3년
  • 월 납입금: 10만 원 (고정)
  • 정부 기여: 매달 최대 30만 원(총 1,080만 원) 매칭 지원
  • 예상 수령액: 최대 약 1,440만 원 (3년 납입 + 정부지원 + 이자 포함)
  • 주요 특징: 소득요건 엄격, 지원금은 정액 매칭 형태

📊 청년도약계좌 vs 내일저축계좌 비교표

항목  청년도약계좌 내일저축계좌
대상 연령 만 19~34세 만 19~34세
소득 요건 개인소득 ≤ 7,500만 원 & 중위 180% 이하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 또는 중위 100% 이하
가입 가능 직군 일반 청년, 근로·사업소득 보유자 근로빈곤층, 자산형성지원 대상자
납입 기간 5년 3년
월 납입금 최대 40만 원 고정 10만 원
정부 지원 방식 이자소득 비과세 + 보조금 매달 30만 원 정액 매칭
만기 수령액 최대 약 5,000만 원 최대 약 1,440만 원
해지 시 불이익 일부 조건부 지급 목적 외 해지 시 지원금 환수 가능

 

 

📌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할까?

✅ 청년도약계좌가 적합한 경우

  • 일반 직장인 청년, 프리랜서 등 일정 소득이 있으나 저소득·중산층에 해당
  • 장기 저축 가능(5년), 비교적 넉넉한 재정 여유가 있음
  • 소득이 중위 180% 이하지만 100%는 넘는 경우

✅ 내일저축계좌가 적합한 경우

  • 기초생활수급자·차상위계층 또는 저소득 청년
  • 월 10만 원 저축이 부담스럽지 않고, 3년간 자산을 빠르게 모으고 싶음
  • 조건 충족 시 정부의 직접 지원을 최대로 받고 싶은 경우

 📝 마무리 요약 📝

  • 청년도약계좌는 누구나 신청 가능, 5년 저축으로 최대 5,000만 원 마련 가능
  • 내일저축계좌는 저소득 청년을 위한 3년짜리 자산형성 상품
  • 본인의 소득과 상황에 따라 선택이 달라져야 함
  • 두 상품 중복 가입은 불가! 신중한 선택 필요

 

 

 

 

 

 

//다음 글 예고//

“ 청년 자산형성 전략: 통장, 펀드, ISA까지 한눈에 보는 비교 정리 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