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정부와 지자체가 제공하는 청년 맞춤형 지원금을 제대로 활용하면,
월세부터 취업장려·자산형성까지 종합적으로 도움받을 수 있어요.
지금부터 꼭 챙겨야 할 대표 제도 5가지를 완벽하게 정리해드릴게요!
1. 청년 월세 지원금
- 지원 금액: 월 최대 20만 원 × 12개월 = 240만 원
- 대상: 만 19–39세 1인 무주택 청년, 부모와 별도 거주
- 소득 기준: 중위소득 150% 이하
- 조건: 보증금 ≤8천만·월세 ≤60만 원
- 신청처: 서울주거포털 사업개요 | 청년월세지원 | 청년·신혼부부 지원 | 서울주거포털 / 복지로 복지서비스>모의계산>청년월세지원 | 복지로 / 각 지자체
- 필요 서류: 통장사본·임대차계약서·등본·소득증빙 등
2. 청년내일저축계좌
- 정부 매칭: 본인저축 10만 원 × 정부매칭 10–30만 원
- 총 수령액: 최대 1,080만 원 (3년 유지 시)
- 대상 / 소득조건: 만 19–34세, 월소득 50–250만 원, 중위소득 100% 이하
- 신청처: 복지로 대한민국 대표 복지포털 '복지로' / 주민센터
- 유의사항: 중도해지 시 반환 가능
3. 청년 근로장려금
- 지급액: 월 최대 20만 원 × 6년 = 1,440만 원 한도
- 대상: 만 15–39세, 중위소득 50% 이하, 근로소득 있는 청년
- 신청기간: 매년 3–5월
- 신청처: 국세청 홈택스 국세청 홈택스 - 메인
4. 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
- 지원액: 기업에만 최대 720만 원 (월 60만 원 × 12개월)
- 인센티브: 청년 근속 시 추가 인센티브 480만 원까지 지급
- 대상: 만 15–34세, 6개월 이상 실업 청년이 중소기업 정규직 취업 시
- 신청처: 워크넷 / 고용24 통합검색
5. 국민취업지원제도 (구직촉진수당)
- 지원금액: 월 최대 50만 원 × 6개월 = 300만 원
- 대상: 만 15–34세 미취업 청년, 중위소득 100% 이하, 2년 내 100일 이상 실업 이력
- 신청처: 고용복지플러스센터 / 워크넷 고용24_개인
6. 요약 비교표
제도명 | 금액한도 | 대상연령 | 소득기준 | 신청처 |
월세 지원 | 240만 원 | 19–39세 | 중위소득 150% 이하 | 복지로 등 |
내일저축계좌 | 1,080만 원 | 19–34세 | 중위소득 100% 이하 | 복지로 |
근로장려금 | 1,440만 원 | 15–39세 | 중위소득 50% 이하 | 홈택스 |
일자리 장려금 | – (기업 수혜) | 15–34세 | – | 워크넷 |
취업촉진수당 | 300만 원 | 15–34세 | 중위소득 100% 이하 | 고용센터 |
//다음 글 예고//
“ 청년도약계좌 vs 내일저축계좌 비교 ”
'생활정보 & 정부지원 > 받을 수 있는 거 다 받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민생회복 소비쿠폰 총정리 – 신청방법·대상·사용처까지 한눈에! (7) | 2025.07.16 |
---|---|
청년도약계좌 vs 내일저축계좌 완벽 비교! 조건부터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 (6) | 2025.07.15 |
숨은 정부지원금 총정리! 5가지 방법으로 놓친 혜택 한눈에 확인하기 (0) | 2025.07.08 |
놓치지 말자! 숨은 정부 지원금 찾는 3단계 방법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7.07 |
2025년 정부지원금 놓치지 마세요!^^ (8) | 2025.06.26 |